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보통 Program FIles안에 설치가 됩니다. 그런데 가만 보면 한 개의 폴더가 아닌 Program FIles, Program Files(x86) 이렇게 두 개의 폴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어느 프로그램은 설치시 둘 중 하나의 폴더에만 흔적이 보이는데 반해 또 어떤 프로그램은 두 개의 폴더 안에 흔적이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 녀석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일단 Program FIles, Program Files(x86) 왜 두개지?
둘의 차이를 간단하게 말하자면 Program FIles는 64비트, Program Files(x86)는 32비트의 프로그램이 설치됩니다. 왜 두개냐고 묻는다면 이전 (microsoft visual c++ redistributable)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듯이 특정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함입니다. 최근에는 64비트가 기본이지만 여전히 32비트 환경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있으며, 운영체제가 64비트라고 하더라도 32비트 환경의 프로그램이 문제없이 동작하게 하기 위해 경로를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2024.09.01 - [이것저것] - microsoft visual c++ redistributable 지워도 될까?
microsoft visual c++ redistributable 지워도 될까?
컴퓨터가 느린 것 같다는 느낌을 받고 보니 C드라이브 용량이 가득입니다. 뭐라도 지워야 할까 하면서 프로그램 목록을 살펴보는데 유난히 눈에 띄는 것들이 있습니다. 내가 설치한 게임이나 기
little-library1.tistory.com
2. 지워도 될까? 지우면 절대 안된다는 글이 많던데..
위에서 중요한 것처럼 이야기했지만, 사실은 아무래도 상관없습니다. 잘 생각해보면 굳이 Program FIles 폴더가 아니더라도 설치가 되고 작동하는 프로그램들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설치경로를 직접 지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많고 32비트니 64비트니 관심 가질 것도 없이 아무렇게나 설치하고 잘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이미 많을 겁니다. 그렇습니다.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 경로를 구분해 놓았을 뿐 Program FIles 폴더를 삭제한다거나 경로를 달리한다고 해서 컴퓨터가 망가지거나 큰일이 나지는 않습니다.
다만..
특별한 상황을 제외한다면 보통 어떤 프로그램이든 제작자의 제작 의도대로 작동합니다. 32비트에서 작동하게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어느 폴더에 설치하든 32비트로 작동하고, 64비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64비트에서 작동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프로그램에 따라 설치 경로가 달라지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소프트웨어가 Program FIles 혹은 Program Files(x86) 폴더 아래에 설치되어 작동하게끔 만들어졌는데, 사용자가 임의로 경로를 바꾸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일부러 지우지 말고 그냥 두세요.
3. 만약 지웠다면?
앞서 말했듯이 폴더 삭제가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 일부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부러 지우려고 해도 잘 지워지지 않으나 만약 지워버렸다면 다음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휴지통에 있다면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복원메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부러 폴더를 옮길 필요없이 원래 위치로 복원됩니다.
2) 만약 삭제한 폴더가 휴지통에도 없다면 윈도우의 복구 기능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실 그냥 새폴더를 만들고 이름만 바꾸면 될 듯하지만 경로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기 때문에 그냥 복구 기능을 사용하시는게 속편합니다.
4. 참고사항
실수로 데이터를 잃어버릴 수는 있겠지만, 보통의 경우 실수로 뭔가를 삭제한다고 해서 컴퓨터가 망가진다거나 크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윈도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폴더나 파일들은 그냥 실수로 삭제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졌고, 일부는 삭제하거나 기능을 끄더라도 자동적으로 복원되거나 기능이 활성화되기도 합니다.
결론은 왠만하면 안망가집니다. 하지만 저장은 필수입니다. 끝.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visual c++ redistributable 지워도 될까? (0) | 2024.09.01 |
---|---|
알리발 RX590 구매 후기 (0) | 2024.04.15 |
크롬 자동팝업 해결 http://categorysort.com/어쩌고저쩌고 (2) | 2023.09.06 |
크롬 먹통, 새 창 안열릴 때 (0) | 2023.05.04 |
북한 해킹 방지, 이니텍 INISAFE CrossWeb EX V3 제거방법 (0)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