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로부스타4

아라비카? 로부스타? [커피 품종 이야기] 코페아속에는 124개 품종이 있으나 음용 목적으로 재배하여 유통되는 것은 아라비카, 카네포라(로부스타), 리베리카종으로 나뉘며, 이 중 아라비카와 카네포라(로부스타)만이 상품가치를 가집니다. 오늘은 커피의 품종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아라비카, 카네포라(로부스타), 리베리카는 커피의 3대 원종으로 불리며, 이 중 아라비카와 카네포라가 주로 재배됩니다. 과거에는 아라비카는 품질이 뛰어나지만 약하고, 로부스타는 강하지만 품질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는데, 현재는 커피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계속해서 개량된 품종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1. 아라비카(Arabica) 우리가 보통 구입하는 대부분의 원두커피는 아라비카종이며, 아라비카는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60~70%를 차지합니다. 에티오피아에.. 2023. 2. 1.
커피 산지 이야기 4 - 3. 아시아/태평양 : 하와이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4. 아시아/태평양 #4. 하와이 (Hawaii) 하와이를 대표하는 하와이안 코나 커피는 하와이 섬의 서부 코나 지역에서 재배되는 스페셜티 커피입니다. 하와이안 코나는 손으로 한 알 한 알 수확하여 워시드로 가공하는 티피카 품종의 커피로, 자메이카 블루마운틴과 함께 최상급 커피로 손꼽힙니다. 풀이나 나무 등을 연상시키는 달콤하고 고급스러운 향미와 감귤계 과실의 신맛, 부드러움이 특징이며, 탁한 느낌이 없는 깨끗한 입자를 자랑합니다. 1982년 과테말라의 티피카종이 코나 지역에 들어 오면서 티피카종의 재배가 시작되었고, 카우아이나 마우이 섬에서도 재배되고 있지만, 하와이 섬의 코나 커피가 가.. 2023. 1. 28.
커피 산지 이야기 4 - 2. 아시아/태평양 :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4. 아시아/태평양 #2. 인도네시아(Indonesia) 표고 1000미터 이상에서 커피를 생산하는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의 커피 생산국입니다. 대부분의 커피는 로부스타 종이며, 10% 정도의 아라비카 커피가 재배되고 있습니다. 만델링의 생산지로 유명한 수마트라가 최대 생산지이며, 총 생산의 75% 정도가 생산됩니다. 자바, 슬라웨시, 발리 등에서 커피가 재배되는데, 지역과 품종에 따라 일 년 내내 수확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접하는 만델링 커피는 수마트라 섬 북부에서 생산되는 아라비카 커피를 말하며, 수마트라 타파눌리 지역에서 커피를 재배하던 만델링 족에서 유래합니다... 2023. 1. 27.
커피 산지 이야기 4 - 1. 아시아/태평양 : 베트남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4. 아시아/태평양 아시아/태평양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하와이 이렇게 4개 생산지를 정리합니다. 베트남은 산지 설명과 카페 핀이라는 추출도구 설명으로 한 페이지를 할애합니다. #1. 베트남(Vietnam) 베트남은 브라질에 이어 세계 2위의 커피 수출국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로부스타 생산국입니다. 베트남은 19세기 프랑스 식민통치 시절부터 커피를 재배했는데, 경작에 좋은 기후와 토양 등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커피 산업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1986년 베트남 정부가 실시한 개혁개방 ‘도이머이’정책에 의해 양상이 달라집니다. 본래 ‘도이머이’정책은 농업이 주가.. 2023. 1.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