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커피생산지10 커피 산지 이야기 4 - 3. 아시아/태평양 : 하와이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4. 아시아/태평양 #4. 하와이 (Hawaii) 하와이를 대표하는 하와이안 코나 커피는 하와이 섬의 서부 코나 지역에서 재배되는 스페셜티 커피입니다. 하와이안 코나는 손으로 한 알 한 알 수확하여 워시드로 가공하는 티피카 품종의 커피로, 자메이카 블루마운틴과 함께 최상급 커피로 손꼽힙니다. 풀이나 나무 등을 연상시키는 달콤하고 고급스러운 향미와 감귤계 과실의 신맛, 부드러움이 특징이며, 탁한 느낌이 없는 깨끗한 입자를 자랑합니다. 1982년 과테말라의 티피카종이 코나 지역에 들어 오면서 티피카종의 재배가 시작되었고, 카우아이나 마우이 섬에서도 재배되고 있지만, 하와이 섬의 코나 커피가 가.. 2023. 1. 28. 커피 산지 이야기 4 - 2. 아시아/태평양 :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4. 아시아/태평양 #2. 인도네시아(Indonesia) 표고 1000미터 이상에서 커피를 생산하는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의 커피 생산국입니다. 대부분의 커피는 로부스타 종이며, 10% 정도의 아라비카 커피가 재배되고 있습니다. 만델링의 생산지로 유명한 수마트라가 최대 생산지이며, 총 생산의 75% 정도가 생산됩니다. 자바, 슬라웨시, 발리 등에서 커피가 재배되는데, 지역과 품종에 따라 일 년 내내 수확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접하는 만델링 커피는 수마트라 섬 북부에서 생산되는 아라비카 커피를 말하며, 수마트라 타파눌리 지역에서 커피를 재배하던 만델링 족에서 유래합니다... 2023. 1. 27. 커피 산지 이야기 4 - 1. 아시아/태평양 : 베트남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4. 아시아/태평양 아시아/태평양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하와이 이렇게 4개 생산지를 정리합니다. 베트남은 산지 설명과 카페 핀이라는 추출도구 설명으로 한 페이지를 할애합니다. #1. 베트남(Vietnam) 베트남은 브라질에 이어 세계 2위의 커피 수출국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로부스타 생산국입니다. 베트남은 19세기 프랑스 식민통치 시절부터 커피를 재배했는데, 경작에 좋은 기후와 토양 등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커피 산업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1986년 베트남 정부가 실시한 개혁개방 ‘도이머이’정책에 의해 양상이 달라집니다. 본래 ‘도이머이’정책은 농업이 주가.. 2023. 1. 26. 커피 산지 이야기 3 - 3. 아프리카/중동 : 탄자니아, 르완다, 예멘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3. 아프리카/중동 #3. 탄자니아(Tanzania) 탄자니아 커피의 대표적 커피로는 킬리만자로가 있으며, 아프리카 킬리만자로 산의 화산지대에 있는 모시 지방을 중심으로 한 초원지대와 호수 접경지역에서 커피를 재배합니다. 탄자니아 커피는 5%정도의 농원을 제외하고 대부분 소규모 농가에 의해 생산되는데, 커피 산지는 국토의 주변부로 분산되어 분포합니다. 주로 아라비카 커피를 재배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로부스타도 재배됩니다. 지역에 따라 재배 환경이 다른 탓에 지역마다 다른 품종이 재배되며, 동북부와 남부에서는 버번종과 켄트종이, 서부에서는 로부스타 종이 재배됩니다. 동북부 농원에서 생산된 .. 2023. 1. 25. 케냐 커피의 등급을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케냐 원두에 등급분류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커피의 이름(여기서는 생두 또는 원두의 표기방법)은 조금만 익숙해지면 간단히 보이는 내용이라서 앞으로 종종 언급하려고 합니다. 물론, 커피는 생산, 수확, 가공부터 유통, 로스팅, 추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정들을 거치며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당연히 커피 이름만 가지고 그 커피를 완전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커피의 산지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내가 즐기는 커피의 기본적 성향을 이해하기 위함입니다. 대략적인 이해를 위한 바탕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이름의 의미 등급 이해를 위해 예를 들자면, ①케냐 ②키린야가 ③AA ④TOP ⑤카이 ⑥워시드 ⑦마이크로랏 은 다음과 같이 풀이됩니다. ① 케냐 .. 2023. 1. 24. 커피 산지 이야기 3 - 2. 아프리카/중동 : 케냐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3. 아프리카/중동 케냐는 두 편으로 나누어 작성합니다. 먼저, 대략적인 케냐 커피를 소개하고, 다음 포스팅에서 케냐 커피의 등급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애초에 한 페이지에 담고 싶어서 내용을 줄여봣는데, 애매한 크기의 포스팅 되어버려 둘로 나눴습니다. #2. 케냐(Kenya) 스페셜티 커피 시장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케냐는, 품종부터 가공, 유통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세련된 고품질의 커피를 생산하는 나라입니다. 커피 재배에 적합한 입지와 품종 개량 및 세련된 가공으로 세계적으로 높은 품질의 커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케냐 커피는 대부분 서부 산악지대(나이로비 북동부에서 .. 2023. 1. 23. 커피 산지 이야기 3 - 1. 아프리카/중동 : 에티오피아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3. 아프리카/중동 에티오피아는 내용이 조금 많아 단독으로 한 페이지를 할애합니다. #1. 에티오피아(Ethiopia) 커피의 기원으로 알려진 에티오피아는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이며, 아프리카 최대의 커피 생산국이자 동시에 가장 오래된 커피 소비국이기도 합니다. 3,500종 이상의 고유한 자생종이 있을 만큼 커피의 유전적 자원이 풍부하며, 이 중 선별된 종들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생산되는 커피의 절반 이상이 1,500미터 이상의 고지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풍부한 유전적 자원과 좋은 재배환경에서 자란 에티오피아 커피는 다른 커피 생산지들과 비교되는 특유의 향과 독특한 플레이버로 많은 사랑을.. 2023. 1. 22. 커피 산지 이야기 2 - 2.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자메이카, 도미니카공화국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2. 중앙아메리카 커피 산지 야이기 2-1. 중앙아메리카 : 파나마,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에서 이어집니다. #4. 과테말라(Guatemala) 과테말라는 대규모 농원에서 소규모 농원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커피 생산이 이뤄지고 있으며 역사 깊은 농원도 많이 있습니다. 1750년대 예수회 신부가 커피를 들여왔고, 1821년 에스 파냐로부터 독립한 후 독일인 이민에 의해 본격적인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과테말라의 안티구아 커피는 초기 스페셜티 시장을 견인했는데, 당시에는 단일 농원의 생두가 많이 유통되었습니다. 과테말라는 다양한 기후 분포를 가지고 있고, 각 농원은 이러한 재배환경을 살려.. 2023. 1. 21. 커피 산지 이야기 2 - 1. 중앙아메리카 : 파나마,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산지 이야기는 1.남아메리카 > 2. 중앙아메리카 > 3. 아프리카/중동 > 4. 아시아/태평양 순서로 이어집니다. 2. 중앙아메리카 #1. 파나마(Panama) 파나마는 생산량은 많지 않지만, 특수한 환경이 만들어낸 고품질의 개성있는 커피를 생산하는 나라입니다. 가볍지만 달콤하고, 알맞은 산미와 균형잡힌 풍부한 맛을 가진 고품질의 커피를 생산하는 커피 산지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스페셜티 커피의 생산은 주로 국토의 서쪽 치리키 주에 집중되어 있는데, 치리키 주의 보케테 지역은 파나마 커피 생산에서 가장 역사가 깊고 유명한 산지입니다. 보케테 지역의 잦은 안개는 기온 상승을 억제하는데, 이 특수한 환경이 양질의 커피 특징을 만들어냅니다. 보케테 지역은 도로나 생두 가공시설 등 인프라가 잘 정비되어 있으며,.. 2023. 1. 20.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