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생두3

결점두와 향미결점 오늘은 결점두와 향미결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커피는 취향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무엇이 ' 더 좋다' 혹은 '더 나쁘다'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결점두를 체크하는 영역과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향미결점은 자연스럽게 연결되기에는 조금 어색한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만, 결점두와 향미결점에 대한 내용을 통해 일반적으로 어떤 커피를 좋지 않은 커피로 보는지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먼저 스페셜티 커피에서 말하는 결점 항목을 살펴보고,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점 향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1. 결점(디펙트 Defect) 스페셜티 커피에서는 SCAA에서 정해 놓은 기준을 벗어난 정상적이지 않은 생두나 기타 이물질이 샘플 안에 일정.. 2023. 2. 19.
커피 콩. 커피는 콩인가? 우리는 흔히 커피 콩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생두나 원두에 사용하는 ‘두’라는 표현 역시 콩입니다. 영어로도 콩을 의미하는 ‘bean’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심지어 작두콩차도 커피와 비슷하게 나오는 걸 보면 역시 커피는 콩일까요? 커피가 무엇인지 부터 생각해봅시다. 커피나무는 커피속 식물의 총칭입니다. 꼭두서니과 기준으로 90여종을 포함하며, 우리가 아는 아라비카, 로부스타, 리베리카 등이 있습니다. 흰색의 향기로운 꽃이 피고, 주로 붉은 색의 열매를 맺습니다. 이 열매는 커피 체리라고 부르며, 이 열매 속 씨앗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커피 생두입니다. 이 생두를 씻어 말리고 볶아내면 원두가 됩니다. 우리는 흔히 커피를 콩이라고 표현하지만, 그냥 모양이 닯아 그렇게 표현할 뿐 커피는 커피 나무에서.. 2023. 2. 17.
내츄럴? 워시드? 생두의 가공방법. ??? : 이 커피는 내츄럴 가공이라 단맛이 강하고 바디감이 좋아요. ??? : 이 워시드 커피는 산미가 좋고 깔끔한 맛이 납니다. 커피의 재배부터 수확, 가공, 유통, 로스팅, 추출에 이르기까지 많은 요소들이 커피 맛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 중 가공방법은 산지의 기후나 환경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가공방법을 이해하는 것 만으로도 커피의 재배 환경과 맛의 성격을 대략적으로 유추하는게 가능해집니다. 물론, 가공방법의 차이가 재배환경이나 품종이 가지는 본래의 고유 특징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커피가 가지고 있는 성분을 다른 방법으로 가공함으로써 특정 부분이 강조되고 그 성격이 달라질 수 있으나, 가공방법이 원래 없던 없던 성분을 만들어 낼 수는 없습니다. 최근에는 무산소발효나 임의로.. 2023. 1.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