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다이어트 커피 등 다이어트에 효과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음료들이 많이 있습니다. 보통 커피나 일부 차에 기능성원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건강기능 식품이지만, 일부 제품은 전혀 그런 기능이 없음에도 특정 효과를 가진 기능성식품인것처럼 SNS를 통해 무분별하게 광고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단순히 기능성을 오인하여 섭취하는 정도로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정말 효과가 있는 제품이라도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지 않은 식품을 어떤 기능성이 있는 것처럼 광고하여 판매하는 행위는 불법입니다.
관심이 있어 살펴보니
커피에 일부 기능성 원료를 넣은 것부터 실제로는 커피가 아니지만 커피같은 제품들까지 너무 많은 상품들이 있고 그 평가는 제각각이었습니다. 사실 커피는 취향의 영역이고 소비자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특정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니 구매판단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영역입니다.
그렇지만 교묘한 속임수 또는 오해로 인해 잘못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생길수 있다고 생각되는 제품들이 일부 있었고, 적어도 속아서 뭔가를 사는 일은 없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오늘은 건강기능식품이 어떤 것인지 일반 식품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1.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은 제품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이며, 기능성 원료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로 이를 그대로 가공하거나 가공한 것의 추출물, 정제물, 합성물, 복합물 등을 의미합니다.
[ 대표적인 기능성 원료 ]
1. 혈행 개선 도움 : EPA 및 DHA 함유유지, 영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2. 장건강 도움 : 프로바이오틱스, 알로에 겔, 알로에 전잎, 프락토 올리고당
3. 면역력 증진 도움 : 인삼, 클로렐라, 홍삼
4. 항산화 도움 : 클로렐라, 토마토 추출물, 녹차 추출물
5. 눈건강 도움 : 마리골드 꽃 추출물, EPA 및 DHA 함유유지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2. 건강식품
건강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은 일반적인 식품이지만 전통적으로 건강에 좋다고 인식되어온 식품들을 말합니다. 식품으로 인한 건강증진 효과가 기대되기도 하지만 원료에 대한 기능성을 인정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법에서 규정하는 건강기능식품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3.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식품의 차이.
가장 분명한 차이는 원료가 가진 기능성에 대한 식약처의 인정입니다. 건강식품이라고 불리는 식품들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그 기능이나 효과가 기대되기도 하지만, 별도의 기능성 인증절차를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건강기능식품과 구별됩니다. 건강기능 식품이라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건강기능식품표시와 기능정보표시가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에는 없습니다. 이는 단순히 표시 의무가 제외되는 것에서 나아가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지 않은 식품을 어떤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광고하는 것이 금지되는 것입니다.
4. 구분하는 법
1) 건강기능식품 마크 확인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된 제품에만 제품 포장에 ‘건강기능식품’이라는 표시 또는 도안이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에는 이와 같은 도안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표식을 확인할 수 없다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한 제품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2) 표시광고 사전 심의필 도안 확인
건강기능식품은 판매되기 전 제품 포장 및 광고에 대해 사전심의를 받아야 합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설치된 기능성 표시광고심의위원회를 통해 사전 심의가 이뤄지며, 사전 심의를 통과한 제품은 ‘사전심의필도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전심의는 제품의 잘못된 표기나 광고를 사전에 차단하여 제품의 성분이나 기능에 생길 수 있는 오해를 줄입니다.
3) GMP 마크 확인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소가 기능성은 물론 안전하고 품질 좋은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하도록 GMP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적용 업소의 제품에는 GMP 마크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GMP마크는 그 자체로 제품의 기능성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철저한 관리를 통해 적합한 시설에서 안전하게 제품이 생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마치며
처음 시작에서 이야기하였듯이 제품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구매는 개인의 영역입니다. 다만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려고 한다면, 이것이 나에게 도움을 주는 제품인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구성성분과 기능성을 확인하고, 일반 식품과 달리 섭취량과 방법이 정해져있을 수 있으니 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보통 어쩌다 한번 섭취방법이나 용량 실수가 일어나도 식품이기 때문에 큰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별로 없지만, 질병을 가지고 있거나 특이 체질인 경우 또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잘못된 섭취방법이 지속되는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이러한 경우는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권에 당첨되면 세금은 얼마나 될까? (0) | 2024.03.11 |
---|---|
로또 이야기 2편 : 로또 1등 100% 당첨되는 방법 (1) | 2023.03.02 |
로또 이야기 1편 : 꿈이나 상징물들이 의미하는 로또 번호 (0)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