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복권에 당첨되면 세금은 얼마나 될까?

by 수마트라 줄무늬 토끼 2024. 3. 11.
728x90
반응형

오늘은 복권당첨금과 세금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1. 복권 당첨금의 세금 기준

현재 복권당첨금에 부과되는 세금은 2백만원, 3억을 기준으로 합니다.

200만원 미만의 당첨금에는 별도의 세금을 부과하지 않으며, 3억원까지는 22%,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33%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과거에는 5등 당첨금에만 비과세가 적용되었으나, 소득세법 개정으로 2023년 1월 1일부터 복권 당첨금의 비과세 기준이 기존 5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2. 복권 당첨금의 세금 구조와 세율

복권에 부과되는 세금은 기타소득세와 주민세(기타소득세의 10%)를 합한것으로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3억원까지 - 기타소득세 20% + 주민세(기타소득세의 10%)2% = 22%

그 초과분 - 기타소득세 30% + 주민세(기타소득의세의 10%)3% = 33%

 

3. 복권당첨금의 실제 세율 계산

복권 1등 당첨금은 보통 3억이 넘기 때문에 세율 계산을 오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액 기준은 세율이 적용되는 구간이며, 3억 초과분에 대해 33%의 세율이 부과되는 것입니다. 299,999,999까지 22%, 3억부터 33%가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1등 당첨금이 10억인 경우,

부과되는 세금은 전체 당첨금 10억원 중 3억원에 대해서 22% 6천 6백만원, 나머지 7억원에 대해 33%인 2억 3천 1백만원입니다. 따라서 그 합인 2억 9천 7백만원을 제한 7억 3백만원 정도를 실제로 수령하게 됩니다.

2등에 당첨되어  당첨금이 5천만원인 경우,

당첨금이 3억원 미만이므로 세금은 22%가 적용되어 5천만원의 22%인 1천1백만원이며, 이를 제외한 3900만원 정도를 실제로 수령하게 됩니다.

 

4. 이런 것은 어떨까?

1. 세금을 나중에 내도 되나요?

보통 당첨금액 자체를 실 수령액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생각보다 높은 세율에 당황합니다. 또한 간혹 별도의 세금징수 절차를 거치는 것이 아닌가 복잡하게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복권 당첨금의 세금은 원천징수되어 지급되므로 별도의 기간을 두어 따로 납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복잡한 절차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 5천만원짜리 2등이 10장되면 세금이 어떻게 되나요?

복권당첨금의 세율 적용은 회차별 동일 회차에서 지급받은 당첨금을 합산한 금액이 기준이 됩니다. 5천만원 복권 10장이 당첨되어 5억원의 당첨금을 수령하게 되는 경우, 3억원까지 22%, 나머지 2억원에 대해 33%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3. 복권에 여러번 당첨되면 세금은 어떻게 될까요?

소득세법에서 세율의 적용은 소득을 지급하는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2번의 경우와 달리 각각 다른 회차에서 복권에 당첨된다면 그 횟수나 금액에 관계없이 합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3억원 미만의 당첨금이 다수 발생하여도 회차가 각기 다르다면 총 금액에 관계없이 22%의 세율이 적용되며, 3억원을 초과하는 당첨금이 발생했을 때에만 그 초과분에 대해서 33%가 적용됩니다.

728x90
반응형